65세이상임플란트정부지원 받는방법
- 사회&복지
- 2025. 10. 24. 21:18
65세 이상 임플란트 정부지원 받는 방법
(치아 건강, 이제는 복지의 일부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자연 치아 손실이 늘어나면서
‘임플란트 시술’은 선택이 아닌 필요가 되었습니다.
다행히 정부에서는 65세 이상 어르신의 임플란트 비용을 건강보험으로 지원하고 있어
본인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지원대상, 조건, 지원금액, 신청 절차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1️⃣ 65세 이상 임플란트 지원대상



✅ 기본 자격 조건
- 만 65세 이상
- 건강보험 또는 의료급여 가입자
- 결손된 치아가 있는 경우 (치아가 빠져 임플란트가 필요한 상태)
✅ 적용 제외 대상
- 이미 건강보험 지원으로 2개 임플란트를 모두 받은 경우
- 틀니 지원을 이미 받은 후, 동일 치아 부위 재시술하려는 경우
- 임시치아, 심미 목적의 임플란트는 비급여
💬 즉, “건강보험 가입 + 치아결손 + 아직 2개 이하 시술”이면 가능해요.
2️⃣ 지원 내용 및 금액



✅ 지원 개수
- 평생 2개의 임플란트까지 건강보험 적용
✅ 적용 치아
- 영구치 상실 부위에 한함 (유치나 보철물 교체 목적은 제외)
✅ 본인부담금
- 전체 치료비의 30%만 본인 부담, 나머지 70%는 건강보험 부담
구분 지원 전 (비급여) 지원 후 (건강보험 적용)
| 임플란트 1개 평균비용 | 약 120만~150만 원 | 약 35만~45만 원 수준 |
| 지원횟수 | 무제한 | 평생 2개 한정 |
| 지원대상 | 전 연령 | 만 65세 이상 |
💬 두 개까지만 적용이지만, 절반 이상 절약되는 셈이에요.
3️⃣ 지원 절차 (신청 방법)



✅ STEP 1. 치과 방문 및 진단
- 일반 치과에서 임플란트 필요 여부 진단
- 건강보험 자격 확인 (의료급여·건강보험)
✅ STEP 2. 시술 계획 수립
- 치과의사가 보험 적용 가능 치아를 확인 후 치료 계획 수립
- 지원 대상이면, 시술 전 ‘보험 청구 동의서’ 작성
✅ STEP 3. 시술 및 보험청구
- 시술 후 병원이 건강보험공단에 자동 청구
- 환자는 본인부담금(30%)만 결제
✅ STEP 4. 사후관리 및 유지치료
- 지원 임플란트라도 유지·보수 치료는 비급여 가능
- 치과 정기검진 및 세정치료(스케일링)는 별도 비용
4️⃣ 의료급여 대상자는 더 큰 혜택



의료급여(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대상자의 경우,
본인부담률이 단 20%로 더 낮습니다.
구분 본인부담률 1개당 부담금 (평균)
| 건강보험 가입자 | 30% | 약 40만 원 |
| 의료급여 대상자 | 20% | 약 25만 원 |
💬 의료급여 대상자는 병원비 부담이 절반 수준이에요.
5️⃣ 보험 적용 시 주의사항 ⚠️



1️⃣ 평생 2개 한도
→ 위아래 합쳐 2개이며, 부위 구분 없음.
2️⃣ 시술 순서 중요
→ 보험 적용 순서대로 진행해야 하며, 역순 청구 불가.
3️⃣ 시술치과 선택 자유
→ 건강보험 요양기관 등록 치과 어디서나 가능.
4️⃣ 임플란트 종류는 제한
→ 보험적용용 임플란트(표준형) 사용만 가능.
5️⃣ 심미목적 임플란트 제외
→ 앞니 미용 목적 시술은 비급여로 처리됨.
💬 “두 개만 혜택이지만, 나머지는 병행치료나 틀니로 보완할 수 있습니다.”
6️⃣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치과 지원제도



✅ 노인 틀니 지원
- 만 65세 이상 대상
- 레진틀니 및 금속틀니 모두 지원 (본인부담 30%)
✅ 스케일링 보험 적용
- 만 20세 이상 연 1회 지원
- 잇몸질환 예방을 위한 필수 관리 항목
✅ 보철·충치치료 건강보험 확대 중
- 2025년부터는 일부 치아보철(브릿지 등)도 단계적 보험 적용 예정
💬 마무리하며
임플란트는 단순히 ‘치아 치료’가 아니라
삶의 질과 건강을 지키는 복지 혜택입니다.
65세 이상이라면 반드시
자신의 건강보험 자격과 지원 횟수를 확인하고,
가까운 치과에서 적용 가능 여부를 상담하세요.
💬 “건강은 나이와 상관없이, 관리하는 사람의 몫입니다.”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65세 이상 노인 혜택 총정리 (0) | 2025.10.24 |
|---|---|
| 전세사기 피해자가 꼭 알아야 할 구제 절차 총정리 (0) | 2025.10.16 |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이건 꼭 들어야 하는 이유 (0) | 2025.10.16 |
| 노인맞춤 돌봄 시스템 서비스 총정리 (0) | 2025.09.10 |
| 전세보증금 반환소송 및 비용 (2025 최신판) (1) | 2025.08.28 |